본문 바로가기
  • 지리산 자락 맴돌기
  • 지리산 자락 맴돌기
  • 지리산 자락 맴돌기

산행후기995

송원모임 대둔산 1. 언제 : 2021.10.23~25 2. 어디 : 대둔산 얼음골 계곡 유원지 3. 참석 : 23일 임노욱, 김종학+1, 장병호 4. 후기 코로라-19 때문에 모임을 할 수 없어서 미루다 오랜만에 모임을 대둔산으로 잡았는데 나는 코로라 예방접종을 하지 않아 사람 많은 곳에 가서 나 때문에 문제가 될 것 같아 모임에 참석하지 않는 것으로 했으나, 전라북도 대둔산에 모이는데 안 가볼 수 없다. 종학이와 병호가 모임 하루 전날 내려와 릿지 등반을 한다고 하더니 종학이가 늦게 와 암벽등반은 못하고 케이블카를 타고 마천대에 있다고 해, 막영장에 도착할 시간에 맞추어 얼음골 계곡 유원지에 도착했더니 산행을 끝내고 내려온 사람들하고 만나 텐트를 치고 저녁으로 능이백숙을 시켜 먹고 있는데 이제는 추워서 그냥 지네기 .. 2021. 10. 25.
동해안 정선여행 1. 언제 : 2021.10.16~17 2. 어디 : 간절곶, 호미곶, 운장산 태경원, 정선5일장, 청령포 3. 누구랑 : 임노욱, 샘물, 나중에 합류(전종신, 이미옥, 김혜경) 4. 후기 다들 강원도 정선에 운장산 태경원에 더덕을 캐는 노력봉사를 하러 떠나고 난 멀리 가는 것, 차를 오래 타는 것이 힘들어 집에서 쉬고 있는데 샘물님이 둘이서 여행이나 가자고 해서 비가 오는데 구례 아지트로 내려가기 전에 남부시장 조점례 남문피순대에서 순대국밥으로 저녁을 맛있개 먹고 아지트로. 어디를 갈까? 고민하고 간절곶 이야기가 나왔는데 난 한 번도 가보지 않았다고 했더니 목적지를 간절곶으로 정하고 05:30분에 아지트를 출발 동해안 가는 길 정말 머네요. 간절곳, 한반도에서 해가 가장 일찍 뜨는 곳이라는데 처음 와보.. 2021. 10. 17.
억새를 보러 황매산 1. 언제 : 2021.10.10 2. 어디 : 황매산 3. 코스 : 영화주제공원~산불감시초소 4. 참석 : 임노욱, 전종신, 이미옥, 이승창, 샘물님 5. 후기 아침에 서둘러 황매산 억새를 보러 출발한다. 5월말에 철쭉 보러왔을 때는 합천군쪽 막영장에서 하룻밤 자면서 황매산 철쭉을 보고 홀딱 반했는데, 가을 억새는 몇 년 전에 한맨님이랑 와서 본일이 있는데 그때도 조금 늦어서 특별한 것이 없었는데 요즈음 SNS에 황매산 억새가 올라오는데 너무 아름다워 억새와 내가 좋아하는 물매화를 보러 황매산 산행을 선택하게 되었다. 오늘은 산청군 쪽 영화주제공원 쪽에서 오를 계획이다. 가면서 보니 다랭이 논을 감상할 수 있는 조망터를 새롭게 만들어져있다. 그래서 올라가서 보니 다랭이논 사이로 황매산을 조망할 수 있네.. 2021. 10. 11.
지리산둘레길 21구간 (산동~주천) 1. 언제 : 2021.10.3., 10.9 2. 어디 : 지리산둘레길 21구간 산동~주천 15.9km 3. 코스 : 산동면사무소 – 현천마을(1.9km) – 계척마을(1.8km) – 밤재(5.2km) – 지리산유스호스텔(2.7km) – 주천센터(4.3km) 4. 참석 : 임노욱, 전종신, 이미옥, 이승창 5. 코스요약 전라남도 구례군 산동면과 전라북도 남원시 주천면을 잇는 15.9km의 지리산둘레길. 산동-주천구간은 지리산의 영봉 노고단을 바라보며 걸을 수 있고, 산동면 소재지인 원촌마을에 들어서면 오전에만 열리는 산동장(3일, 8일)에서 시골장의 정취를 느낄 수 있다. 특히 봄철이면 현천마을에서 계척마을까지 이어진 산수유군락이 장관을 이루고, 계척마을에서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되었다는 할머니 산수유.. 2021. 10. 10.
지리산둘레길 20구간(난동~산동면사무소) 1. 언제 : 2021.10.2.~3 2. 어디 : 지리산둘레길 20구간 난동~산동면사무소 8.8km 3. 코스 : 난동 – 구리재(3.7km) – 탑동마을 (3.7km) – 산동면사무소(1.4km) 4. 참석 : 임노욱, 전종신, 이미옥, 이승창 5. 코스요약 전라남도 구례군 광의면 방광리 방광마을과 구례군 산동면 탑정리 탑동마을을 잇는 13km의 지리산둘레길. 방광-산동 구간은 지리산국립공원을 이웃하며 걷는 임도와 마을을 잇는 옛길로 구성된다. 광의면 방광리 일주도로 입구에 위치한 천은사도 여유가 되면 둘러볼 수 있다. 난동마을을 지나 당동 화가마을을 돌아가다 보면 조선시대 남악사터와 대전리 석불입상을 볼 수 있다. 지초봉 일대는 구례 수목원과 국내최대의 생태숲이 조성중이어서 다양한 숲자원을 만나게 .. 2021. 10. 5.
지리산둘레길 18구간(오미~난동) 1. 언제 : 2021.10.2~3 2. 어디 : 지리산둘레길 18구간 오미마을~난동마을 18.9km 3. 코스 : 오미마을(운조루) – 곡전재(0.2km) – 원내마을(0.7km) – 수달보호구역(원내 0.8km) – 수달보호구역(용두 1km) – 용호정(0.5km) – 서시교(2.9km) – 구례센터(0.9km) – 연파마을(광의면소재지)(6.0km) – 구만마을(우리밀체험장)(2.1km) – 난동갈림길(3.8km) 4. 참석 : 임노욱, 전종신, 이미옥, 이승창, 샘물(차량서포트) 5. 코스요약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오미리 오미마을과 구례군 광의면 온당리 난동마을을 잇는 18.9km의 지리산둘레길.오미-난동구간은 서시천과 섬진강을 따라 걷는 길로 여름이면 원추리꽃이 장관을 이룬다. 백두대간이 시작.. 2021. 10. 5.
지리산둘레길 17구간(송정~오미) 1. 언제 : 2021.10.2 2. 어디 : 지리산둘레길 17구간 송정마을~오미마을 10.4km 3. 코스 : 송정 – 송정계곡(1.8km) – 원송계곡(1.4km) – 노인요양원(2.7km) – 오미(4.5km) 4. 참석 : 임노욱, 전종신, 이미옥, 이승창, 바람개비, 샘물(차량서포트) 5. 코스요약 송정-오미구간은 구례군 토지면 전경과 섬진강을 보면서 걷는 길로 농로, 임도, 숲길 등 다채로운 길들로 이어진 10.4km의 둘레길이다. 숲의 모습 또한 다채롭다. 조림현상과 산불로 깊게 데이고 다친 지리산의 상처를 만난다. 아름다운 길에서 만나는 상처는 더욱 아프고 자연과 인간의 상생을 생각하게 한다. 남한의 3대 길지 중 한곳으로 알려진 운조루를 향해 가는 길은 아늑하고 정겹다. 섬진강 너머 오미.. 2021. 10. 5.
지리산둘레길 16구간(가탄~송정) 1. 언제 : 2021.10.1 2. 어디 : 지리산둘레길 16구간 가탄마을~송정마을 10.6km 3. 코스 : 가탄 – 법하(0.7km) – 작은재(어안동)(1.2km) – 기촌(1.9km) – 목아재(3.4km) – 송정(3.4km) 4. 참석 : 임노욱, 전종신, 이미옥, 이승창 5. 코스요약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탑리 가탄마을과 전라남도 구례군 토지면 송정리 송정마을을 잇는 10.6km의 지리산둘레길. 하동에서 구례를 넘나들었던 작은재가 이어진 길이다. 대부분 숲속길이라 기-분 좋게 걸음을 옮긴다. 이 길 역시 섬진강과 나란히 뻗어 있어 시야가 트이는 곳이면 어김없이 섬진강이 반갑게 인사를 건넨다. 제법 경사가 있는 길이지만 숲과 강이 있어 상쾌하다. 깊은 산골이지만 걷다가 자주 묵답을 만나게 .. 2021. 10. 5.
지리산둘레길 15구간(원부춘~가탄) 1. 언제 : 2021.9.30 2. 어디 : 지리산둘레길 15구간 원부춘~가탄마을 11.4km 3. 코스 : 원부춘 – 형제봉임도삼거리(4.1km) – 중촌마을(2.5km) – 정금차밭(1.2km) – 대비마을(1.5km) – 백혜마을(1km) – 가탄마을(1.1km) 4. 참석 : 임노욱, 전종신, 이미옥, 이승창 5. 코스요약 경상남도 하동군 화개면 부춘리 원부춘마을과 탑리 가탄마을을 잇는 11.4km의 지리산둘레길. 지리산 고산지역의 길들을 걷는 구간으로 화개골 차밭의 정취가 느껴진다. 곳곳에서 차를 재배하는 농부들의 바지런한 손길이 만들어낸 아름다운 풍경과 마주한다. 화개천을 만나는 곳에서는 하동의 십리벚꽃길도 조망할 수 있다. 임도, 숲속길, 마을길이 고루 섞여 있어 지루하지 않다. 가탄에서 .. 2021. 10.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