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지리산 자락 맴돌기
  • 지리산 자락 맴돌기
  • 지리산 자락 맴돌기

산행후기/2021년117

구름다리를 보러 성제봉 1. 언제 : 2021.7.27 2. 어디 : 성제봉 3. 코스 : 활공장~성제봉~구름다리~강선암 4. 참석 : 임노욱, 전종신, 샘물님, 승창형님, 이미옥, 바람개비 5. 후기 아침 일찍 아지트에 가서 보니 감자가 하지가 지났다고 캐달라고 하고 있다. 하지만 너무 더워 저녁때 수확하기로 하고 더워 할일이 없어 섬진강 책사랑방에 들려 책 몇 권을 사가지고 아지트로 돌아와 쉬고 있는데 샘물성이 임석현씨와 교장선생님을 모시고 와서 집을 팔란다. 웃어넘기고 저녁때 미옥, 샘물님이랑 감자를 캐는데 아주 알이 작아서 그러지 아주 많이 나온다. 수확의 즐거움이란 바로 이런 건가 보다. 작은 감자를 에어플라이기에 익혀서 먹어 보는데 아주 맛있네요. 승창이 형님이 비파를 2바구니가 가지고와서 저녁을 먹고 씻어서 바로 .. 2021. 6. 27.
졸업여행 제주도 3~4일차 1. 언제 : 2021. 6. 24~25 2. 코스 : 쇠소깍 - 해안도로 -성산읍- 해맞이해안도로 - 절물휴양림 - 북촌마을 3. 후기 각시가 여행지 마다 들려 보는 것이 너무 힘들다고 오늘은 차를 타고 해안가를 돌아봤으면 한다. 그래서 바로 계획변경 제일먼저 쇠소깍을 돌아보는데 예전과 같이 어수선한 분위기가 하나도 없고 잘 정비된 듯 아주 깨끗하다. 이유야 코로나19 때문이겠지만 어찌되었든 보는 사람 입장에서는 아주 좋네요. 하효쇠깍 해변을 돌아보는데 등대가는 길에 그림을 그렸던데 이유는 잘 모르겠다. 특히 뗏목으로 만든 배가 인상적이다. 위미마을 용천수가 나오는 곳에 캠핑카가 몇 대있다. 이곳이 제주올래길 5코스 구간이라는데 여기와 비교하면 지리산둘레길은 양반이다. 나중에 올래길을 걷는다면 그늘이 .. 2021. 6. 25.
졸업여행 제주도 2일차 1. 언제 : 2021. 6. 23 2. 코스 : 황우지 선녀탕 - 카멜리아힐 - 본테박뮬관 - 자동차박물관 - 유리의성 - 이중섭미술관 - 서귀포시 매일올래시장 3. 후기 호텔 아침식사 생각보다 먹을 것도 없고 별로다. 주차장이 좁아 주차타워로 올라간 차를 빼는데 시간이 많이 걸린다. 황우지 선녀탕을 돌아보기 위해 주차하고 보니 둘레길 7코스 시작지점이며 여러 번 와본 외돌개 주차장이다. 황우지 내려가기 전에 전망이 너무 멋져서 한 컷 황우지 선녀탕으로 내려가면서 본 모습 선녀탕에는 여러 사람들이 물놀이를 하고 있다. 선녀탕을 둘러보고 나오면서 인증사진 그런데 황우지 선녀탕은 올레길 6코스 마지막에 있는 곳이라 처음으로 내려가 보는 곳이다. 둘러보고 주차장에 왔더니 주차요금 2000원을 달랜다. 다음은.. 2021. 6. 25.
졸업여행 제주도 1일차 1. 언제 : 2021.6.22.~25 2. 어디 : 제주도 일원 3. 후기 1989.12.8일부터 전라북도청에서 공무원을 시작했는데 32년 7개월의 공직생활을 마무리하고 2021.7.1일부터 1년간 공로연수에 들어간다. 나는 아버지가 출생신고를 늦게 해서 나의 동기들보다 공무원 생활을 2년이나 더 하고 퇴직하는 거라 후배들한테는 미안할 뿐이다. 공직생활 32년 동안 했던 일 중 가장 기억에 남는 일들은 인사기록카드전산화, 주민등록증 갱신, 정보화마을 조정, 작은 영화관 조성, 탄소법 개정 등 성공한 일들도 많았고 즐겁게 공직 생활을 한 것 같다. 결론은 좋은 성과도 있었지만 개인적으로는 서기관까지 승진해서 도청과장까지 하고 32년간 아무런 사고 없이 정년퇴직을 한다는 것에 아주 만족하며 가문에 영광이라.. 2021. 6. 25.
지리산 소은암 1. 언제 ; 2021.6.20 2. 어디 : 소은암 3. 코스 : 국사암~불일평전~불일암~소은암~쌍계사 4. 참석 : 임노욱, 전종신, 박수철, 이미옥, 솜리댁, 바람개비 5. 후기 아지트에 내려가 라면하나 먹고 풀을 뽑고 쉬고 있는데 종신, 미옥, 솜리가 왔다. 금년들어 처음으로 가지 2, 호박 2, 고추를 따 반찬을 만들고 상추로 겉절이 샘물님이 가지고온 연어 구이, 오삼겹 등으로 저녁을 맛있게 먹고 쉬고 있는데 바람개비가 늦게 도착 늦은 시간까지 술자리가 이어지고 지리산 소나무 숲길 중에서 내가 좋아하는 아름다운 길이다. 오늘 산행은 솜리가 무릎이 좋지 않다고 해서 간단하게 소은암이 안 무너지고 잘 있는지 보러가자고 산행지를 정하고 출발, 종신이 차를 쌍계사 주차장에 주차시키고 샘물님 차로 국사암.. 2021. 6. 20.
지리산둘레길 12구간 걷기 (삼화실~대축) 1. 언제 : 2021.6.14 2. 어디 : 지리산둘레길 12구간 삼화실~대축 16.7km 3. 코스 : 삼화실(삼화실안내소) – 이정마을(0.4km) – 버디재(1.3km) – 서당마을(1.6km) – 신촌마을(3.3km) – 신촌재(2.7km) – 먹점마을(1.9km) – 먹점재(1km) – 미점마을(1.8km) – 대축마을(2.7km) 4. 참석 : 임노욱, 전종신, 이승창 5. 코스요약 경상남도 하동군 적량면 동리에서 하동군 악양면 축지리 대축마을을 잇는 16.7km의 지리산둘레길. 마을도 많이 지나고 논, 밭과 임도, 마을길, 숲길 등 다양한 길들이 계절별로 다른 모습을 하고 반긴다. 봄에는 꽃동산을, 가을이면 황금으로 물든 풍요로운 지리산 자락을 펼쳐 놓는다. 먹점재에서 미동 가는 길에 만나.. 2021. 6. 14.
지리산둘레길 11구간 걷기 (하동호~삼화실) 1. 언제 : 2021.6.13 2. 어디 : 지리산둘레길 11구간 하동호~삼화실 9.4km 3. 코스 : 하동호 – 평촌마을(2km) – 화월마을(1.2km) – 관점마을(1.1km) – 상존티마을회관(3.2km) – 존티재(0.7km) – 삼화실(1.2km) 4. 참석 : 임노욱, 전종신, 이승창, 이미옥+1, 바람개비 5. 코스요약 경상남도 하동군 청암면 중이리 하동호와 하동군 적량면 동리 동촌마을을 잇는 9.4km의 지리산둘레길. 하동호- 삼화실구간은 청암면 소재지를 지난다. 돌다리를 건너 시냇물을 건너보는 모험도 해보고 산골마을 아이들이 학교를 다녔던 존티재도 넘는다. 익살스러운 장승도 만난다. 구 삼화초교였던 삼화에코하우스에 자리잡고 있는 지리산둘레길 삼화실안내소에서 다리쉼도 하고 안내도 받을.. 2021. 6. 14.
지리산둘레길 10 구간 걷기 (위태~하동호) 1. 언제 : 2021.6.12~13 2. 어디 : 지리산둘레길 10구간 위태~하동호 걷기 11.5km 3. 코스 : 위태(상촌) – 지네재(1.9km) – 오율마을(0.6km) – 궁항마을(2.2km) – 양이터재(2.2km) – 나본마을(2.6km) – 하동호(2km) 4. 참석 : 임노욱, 전종신, 이승창, 이미옥+1, 김경민(도건, 도훤), 바람개비 5. 코스요약 경상남도 하동군 옥종면 위태리와 하동군 청암면 중이리 하동호를 잇는 11.5km의 지리산둘레길. 위태-하동호구간은 낙동강 수계권에서 식생이 다양한 섬진강 수계권인 지리산 남쪽을 걷는 길이다. 지리산을 사이에 두고 흐르는 물들이 북쪽은 낙동강이 되고 남쪽은 섬진강이 된다. 걷다가 만나는 숲의 모습도 다르다. 남명조식선생과 지리산을 유람하는.. 2021. 6. 14.
지리산둘레길 9구간 걷기 (덕산~위태) 1. 언제 : 2021.6.12 2. 어디 : 지리산둘레길 9구간 덕산~위태마을 9.7km 3. 코스 : 원리교 – 천평교(0.4km) – 중태안내소(3.1km) – 유점마을(3.1km) – 중태재((1.3km) – 위태(상촌)(1.8km) 4. 참석 : 임노욱, 전종신, 이승창 5. 코스요약 덕산-위태구간은 낙동강수계인 덕천강도 만나고 두방산의 경치도 감상하면서 걷는 9.7km의 지리산둘레길이다. 남명조식선생의 유적도 둘러보고 지리산 천왕봉의 기운을 느끼면서 임도와 옛길를 걷게 된다. 이 구간에서는 시천면 사리 원리, 천평, 중태, 옥종면 위태(상촌)마을을 지난다. 6. 후기 3차 둘레길 걷기는 6.12~14일까지 9~11구간까지 걷기로하고 전날 아지트에 내려가 산행준비를 마치고 아침에 완도에서 출발한.. 2021. 6.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