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지리산 자락 맴돌기
  • 지리산 자락 맴돌기
  • 지리산 자락 맴돌기

산행후기995

청송 겨울 여행 1. 언제 : 2023.1.14~15 2. 어디 : 청송여행 3. 참석 : 임노욱, 전종신, 샘물, 이승창, 이혜경 4. 후기 갑자기 혜경이가 청송에서 있다 와서 그런지 2023.1.13~15까지 "2023 청송 아이스 클라이밍 월드컵 & 아시아 선수권 대회"를 한다고 보러 가잔다. 난 그런 대회에 관심이 없어서 참석할지 고민하다. 아지트 식구와 완도에 승창이 형님이 간다고 해 참석하기로 하고 월드컵경기장에서 10시 만나 청송으로 출발. 전주에서 청송까지 260Km나 된다. 대회장에 도착해서 연맹 회장님 하고 만나 등록하고 숙소 배정을 받고 대회장을 둘러본다. 나 촌놈은 주산지를 한 번도 보지 못해 온 김에 들려 보기로 하고 주산지를 둘러본다. 주산지는 농업용수를 모아두기 위한 인공 저수지로, 경종 원년.. 2023. 1. 16.
한라산 어리목으로 올라 영실로 1. 언제 : 2023.1.2 2. 어디 : 한라산 3. 코스 : 어리목~윗세오름대피소~영실 4, 참석 : 임노욱, 윤호근+1 5. 후기 윤호근이 1일 사전 참여의사 없이 저녁에 도착하고 산행은 한라산 어리목으로 올라 윗세오름산장 찍고 영실로 내려올 계획이라 했더니 함께 하겠단다. 아침 일찍 라면으로 아침을 먹고 동식이가 어리목 주차장까지 태워다 주어 편하게 이동, 스페치만 차고 산행을 시작하려는데 옆 사람이 영실에 갔더니 사람이 너무 많아서 이곳으로 왔단다. 오늘 윗세오름산장에 사람이 많은가 보다. 출발 전에 한라산 드디어 출발 합니다. 오늘 날씨는 아주 바람도 없고 춥지 않아 아주 좋네요. 눈이 아주 많네요. 오를수록 눈이 많아집니다. 하늘이 열리기 시작합니다. 한라산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갑자기 구.. 2023. 1. 4.
2023년 계묘년(癸卯年) 첫 날 1. 언제 : 2023.1.1 2. 어디 : 제주도 성산읍 광치기 해변 일출 및 시산제 3. 참석 : 임노욱, 류영범, 일성가족(마눌,누나,상미+1),동식+3, 호준+1, 우연, 상영 4. 후기 2023.1.1. 제주도 성산일출봉 일출산행 계획을 찬득이가 공지, 대원을 모집한 결과 다수에 사람이 참여하기로 하고 각자 알아서 성산포 ‘87 조대공전 장창수가 만들어 놓은 아지트 숙소에 모이기로, 난 모악산 모임에서 인터넷으로 30일 광주공항 15:10 비행기표 예약, 구례에서 동식이와 함께 내차로 광주공항으로 이동, 공항에 찬득이가 마중 나와 수리를 맡긴 카메라플래시를 주고 간다. 찬득이는 1월 2일 시술이 잡혀있어서 부득이하게 참여할 수 없다고 많이 아쉬워한다. 호준이와 제수씨랑 같은 비행기로 제주로 이동.. 2023. 1. 4.
2022년 마무리 산행 한라산 1. 언제 : 2022.12.31 2. 어디 : 한라산 3. 코스 : 관음사~삼각봉대피소~용진각대피소터~한라산~진달래대피소~사라오름~성판악 4. 참서 : 임노욱, 류영범, 일성딸(상미+신용), 상영 5. 후기 당초 일성이 가족이 한라산 등반 허가를 받았는데 일성이가 감기몸살로 산행을 할 수 없어서 취소하면서 시간타임을 이용해 내가 한라산 관음사 코스 허가를 받았다. 오늘 산행은 관음사코스로 올라 한라산 찍고 성판악 쪽으로 내려오면서 처음으로 사라오름을 들렀다 오기로 하고 06:00에 아지트에 출발 관음사 주차장에 도착, 처음해보는 QR코드 입산허가를 받고 입구에 들어선다. 날씨는 포근하고 며칠 전에 제주지역에 폭설이 내려 그런지 눈은 많지만 크로스가 되어 있어서 스페치는 필요 없고 아이젠만 차용하고 산행.. 2023. 1. 4.
지리산 바래봉 상고대를 보러 갔건만 1. 언제 : 2022.12.25 2. 어디 : 지리산 바래봉 3. 코스 : 용산주차장~바래봉~능선~운지사~주차장 4. 참석 : 임노욱, 전종신, 샘물 5. 후기 어제 내려와 아지트에 보일라가 얼지는 않았는지 점검해 보니 큰 문제가 없는 듯. 내려오면서 서북능선에 상고대가 너무 멋있게 보여 아침 일찍 서둘러 바래봉을 오르기 위해 출발, 주천면사무소에 종신이 차를 주차해두고 샘물님 차로 용산 주차장까지 이동 산행 시작 이른 아침인데도 주차장이 만차다. 얼마나 부지런해야 편하게 주차를 할 수 있는지 모르겠다. 폭설이 내려 지리산을 전면 통제 한 줄 알았는데 사람이 많이 다녀 길이 아주 미끄럽네요. 운지사 삼거리에 이정표가 새롭게 보이네요. 이곳에서 바래봉까지 4.2km 용산주차장까지 1.5km, 우리는 종신.. 2022. 12. 28.
폭설이 내린 모악산 눈 산행 1. 언제 : 2022.12.24 2. 어디 : 모악산 3. 코스 : 비단길-모악산-약수터길 4. 참석 : 임노욱 혼자 5. 후기 아침 운동을 마치고 모악산 산행을 하고 아지트에 내려가기 위해 비단길로 오르기위해 신금마을에 들어가는데 제설작업이 되어있지 않아 마을 들어가는 입구에 주차하고 스페치 아이젠까지 착용하고 산행시작. 내려오는 등산객한테 길이 나있는지 물어보니 잘나 있단다. 전라북도 지역에 17년 만에 최대의 폭설이 내려 온 세상이 눈꽃세상이다. 신금마을 가는 길가에 있는 감나무에 까치밥에도 눈이 쌓여 있네요. 이곳에서 비단길 시작이다. 이정표를 지나면 대밭인데 눈으로 대가 쓰러져있어서 우회해서 길을 이어간다. 오르면 오늘수록 눈이 많아진다. 비단길은 소나무가 눈을 다 이고 있어서 등산로에는 예상.. 2022. 12. 28.
송년산행 천상데미봉 1. 언제 : 2022.12.17 2. 어디 : 데미샘자연휴양림~데미샘~천상데미봉~오계치~데미샘자연휴양림 3. 참석 : 19명 4. 후기 도청산악회에서 송년산행을 하는데 OB회원을 초대해 참여하기 위해 약속장소인 도청에다 내차를 주차해두고 관광버스를 타고 데미샘자연휴양림으로 이동 데미샘가든에서 휴양림 가는 길 방판 길이라 버스가 올라가다 미끄러져 올라가지 못하고 걸어서 오른다. 데미샘자연휴양림 직원들이 나와서 커피를 한잔 타 주어 맛있게 먹고 데미샘 가는 등산로로 들어선다. 섬진강 발원지 데미샘 이곳에서 섬진강은 시작해서 212.2km를 흘러 남해로 흘러간다. 시간이 너무 늦었고 눈이 많이 내려서 선각산 가는 것은 포기하고 오계치에서 휴양림으로 내려서기로.. 눈이 많이 와서 걷는 이들 모두가 즐거워 합니.. 2022. 12. 18.
모악산 눈산행 1. 언제 : 2022.12.14 2. 어디 : 모악산 3. 코스 : 신금마을~약수터길~모악산~비단길~신금마을 4. 참석 : 임노욱 혼자 5. 후기 밤사이에 눈이 많이 내려 길이 미끄러워 운동가는 것을 포기하고 모악산 눈산행을 위해 집을 나선다. 오늘 산행은 눈이 많고 사람이 다니지 않은 약수터길로 올라 비단길로 내려오기 위해 신금마을 주차장에 주차를 하고 산행 시작 노거수와 모악당산 임도를 따라 몇 사람이 먼저 올라간 발자국을 따라간다. 이곳에서 약수터길 등산로에 들어선다. 앞에 5명이 가고 있다. 앞에 가던 사람이 사진을 찍으면서 쉬고 있어서 앞질러 가다보니 내가 제일 앞에서 러셀을 하면서 오르기 시작한다. 이런 아름다운 길을 2022년 겨울 첫 번째 쌓인 눈을 러셀하며 오릅니다. 기분이 아주 좋네요.. 2022. 12. 14.
걸어서 쑥섬 한바퀴 1. 언제 : 2022.12.11 2. 어디 : 전라남도 고흥군 쑥섬 3. 코스 : 선착장~갈매기카페~난대원시림~환희의언덕~몬당길(야생화 길)~별정원과 달정원(비밀꽃정원)~칸나/애기동백정원(여름/겨울정원)~수국정원~사랑의 돌담길~팜파스정원~동백길~우끄터리 쌍우물~선착장 4. 참석 : 임노욱, 샘물 5. 후기 어젯밤 비가 내려 노고단에 상고대가 피었으면 아침 일찍 오를 계획이었는데 날씨가 너무 따뜻한 늦가을 같아서 상고대가 없다. 섬 투어를 하기로, 고흥에 섬을 확인해 보니 못 가본 쑥섬이 보여 들어가 보기 위해 길을 나선다. 아지트에서 나로도 연얀여객터미널까지 거리가 110km 가까운 거리가 아니다. 나로도 연얀여객터미널에서 쑥섬에 들어가기 위해서는 배표를 예매해야 된다. 요금은 1인당 8천 원, 어린이.. 2022. 12.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