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동하는 민중을 위한 실천 역사학
많은 사람들이 ‘역사란 무엇에 대한 것인가?’를 묻지만, 셰노는 ‘역사는 누구를 위한 것인가?’를 묻는다. 이 질문에 대한 부르주아 역사학자들의 대답은 전형적이다. 역사는 우리의 시야를 넓혀 주고 ‘개인적 경험의 영역을 넓혀 준다.’ 그리고 새로운 통찰력과 ‘새로운 차원의 지혜’를 준다는 것이다. 이 모든 대답들이 사실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것은 로마가 불타는 동안에도 수도원 안에서 영원을 찾으려 애쓰던 수도승을 연상시키는 정숙주의와 체념의 전형적인 표현이 아닐까?
셰노가 말했듯이, 과거는 그 과거를 만든 사람과 함께 사라졌다는 것이 옳다. 우리가 과거에 관심을 갖는 이유는 현재에 대한 통찰력을 얻고, 불확실하게나마 미래를 상상해 보기 위함이다. 그러나 그것은 오직 가능할 법한 미래일 뿐이며, 실제의 미래는 우리가 선택해서 만들어 나가는 것이다. 마르크스가 우리에게 경고했듯이 역사는 우리에게 아무런 해답도 제공하지 못하며, 우리가 해야 할 싸움을 대신해 주지도 않는다. 역사는 그 자체로서는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 결과는 그들의 이상을 위해 투쟁하는 인간들, 즉 ‘진정한, 살아 있는 인간들’에게 달려 있는 것이다.
과거에 대한 현실의 우위성은 오직 현실 속에서만 세계를 변화시킬 수 있다는 사실에 근거를 두고 있다. 프랑스의 파리 혁명은 민중의 힘으로 절대 왕정을 무너뜨리고 근대 민주 국가로의 체제 전환을 이끌었다. 해방 후, 우리나라에서는 4.19혁명과 5.18 민주화운동, 6.10항쟁을 통해서 독재 정권을 무너뜨리고 직선제 개헌에 의한 민주 정부를 탄생시켰다. 또한 시민의 평화적 시위로 시작된 촛불집회는 적법한 절차에 따라 촛불혁명으로 승화되었다. 진정한 민주주의를 염원하는 촛불 시민들의 역사 참여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이렇듯 역사 지식의 목적은 현실을 변화시키키 위한 실제적 행동이며 투쟁이다. 행동하는 양심, 우리가 역사다.